본문 바로가기
정보처리기사

[소프트웨어 설계] 22. 인터페이스 방법 명세와 설계서 작성

by reve5 2022. 3. 3.


2. 통신을 위한 프로그램을 생성하여 포트를 할당하고, 클라이언트의 통신 요청 시 클라이언트와 연결하는 내·외부 송·수신 연계기술은?
① DB링크 기술
② 소켓 기술
③ 스크럼 기술
④ 프로토타입 기술

>> 정답 2번
포트를 만드는 것은 소켓 특징이다

 

db 링크 기술 = 데이터 베이스 접근하는 시스템

소켓 기술 = 특정 포트 할당, 클라이언트와 연결

스크럼 기술 =  애자일 기술, 특정 언어 및 방법에 얽매이지 않음

프로토 타입 = 요구사항 분석 디자인 패턴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. 프로토 타입을 만들어서 테스트하는 방법

 
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rUNbFFZ_dwc&list=PLKpxllD6C8CnkSWfqRJsHOYtbBFnvtrcY&index=23 


인터페이스 방법 명세화 

1. 시스템 연계 기술
> 개발할 시스템과 이 시스템과 연계된 내외부 시스템에 사용되는 인터페이스 기술
5개 있음

DB Link > 다른 시스템 DB 접근하는 시스템. 기본 제공. DB Link 객체 이용

API >DB를 읽어오도록 만들어 둔 인터페이스 프로그램
(API = 미리 만들어진 인터페이스 프로그램)

연계 솔루션 > EAI 서버와 각 시스템에 설치된 클라이언트를 통해 데이터 통신. 모니터링과 통제 가능
(EAI 테이터 현황을 모니터링, 통제한다.)

Socket > 포트 할당. 클라이언트와 연결
특정 경로 = 특정 포트

Web service > SOAP WSDL UDDI
시스템과 시스템 또는 시스템과 사람 사이의 상호작용에 대한 호환성 지원을 위해 사용하는 소프트웨어시스템

2.  인터페이스 통신 유형 
> 데이터를 송수신하는 형태

단방향 : 요청, 응답없음
동기 : 요청 및 대기 , 응답 (같은 시간대)
비동기 : 요청 및 미대기, 응답


3. 처리 유형
> 넘어온 데이터를 처리/전송량, 비용 고려

실시간 방식 : 즉시 처리, ex) 예매, 카톡
지연처리방식 : 처리시간 여유, 즉시 처리시 비용문제 ex) 본인인증문자
배치 방식 : 일괄처리, 모아뒀다가 대량으로 한번에 ex)세금 계산


인터페이스명, 송신시스템, 수신시스템+ 연계기술, 통신유형, 처리형태, 주기을 고려하여 송수신 방법을 명세화한다.

더불어서 송수신되는 데이터를 명세화한다.

파일, 테이블 단위를 자세히 식별한다.

오류 구분, 각각 오류에 대한 해결방안을 또 명세한다.

명세한 후 설계서를 작성한다.

시스템 인터페이스 설계서는 명세화 과정에서 산출된 결과물을 바탕으로 작성한다.
공통적으로 사용하는 목록에 사용한다.
인터페이스 목록(시스템 정보, 연계방식, 통신 유형), 인터페이스 정의서(시스템 간 데이터 저장소 정보 및 속성)을 작성한다.

댓글